본문 바로가기
IT.하드웨어 이슈

RTX Titan Ada 실물 공개, 엔비디아의 미공개 괴물 GPU

by 일상의 반복 2025. 5. 11.
반응형

 

NVIDIA RTX Titan Ada 프로토타입, 미출시 괴물 GPU의 모든 것

 

2025년 5월, 세계적인 오버클러커이자 하드웨어 전문가로 알려진 'Der8auer'(Roman Hartung)가 NVIDIA의 미출시 그래픽 카드인 RTX Titan Ada의 실물을 공개하면서 글로벌 하드웨어 커뮤니티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정식으로 출시된 적은 없지만, 공개된 사양과 디자인만으로도 이 제품은 NVIDIA가 개발한 역대 최강의 GPU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하이엔드 사용자들과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Titan Ada는 Ada Lovelace 아키텍처 기반의 AD102 GPU를 완전 활성화한 상태로 탑재한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RTX 4090은 일부 CUDA 코어가 비활성화된 반면, 이 제품은 18,432개의 모든 CUDA 코어를 그대로 제공하며, 연산 성능 면에서 확실한 차별점을 보여줍니다. 여기에 탑재된 GDDR6 48GB 용량의 VRAM은 클램셸 구성으로 양면에 배치되어, RTX 4090의 24GB 대비 두 배 이상의 용량을 자랑합니다. 이는 AI 연산, 고해상도 영상 편집, 3D 렌더링 등 메모리 사용량이 많은 작업에서 특히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외형적인 면에서도 Titan Ada는 기존 제품들과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입니다. 전원 커넥터는 듀얼 16핀(12VHPWR) 구성으로 최대 450W의 전력 소비를 지원하며, 쿨링 구조는 쿼드 슬롯 히트싱크 방식으로 설계되어 타 GPU보다 압도적으로 큽니다. 특히 수직 배치된 PCB 설계는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대형 히트싱크와의 시너지로 열 해소 효율도 높였습니다. 이 제품을 직접 다뤄본 Der8auer는 “손에 쥐어본 것 중 가장 큰 GPU”라고 평했습니다.

 

성능 면에서는 RTX 4090을 넘어서는 결과가 실측되었습니다. 3DMark Time Spy Extreme 벤치마크에서는 RTX 4090 대비 약 15% 이상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고, 실사용 게임 환경에서도 Cyberpunk 2077, Remnant 2 등에서 평균 10~12% 향상된 프레임을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고해상도 및 레이 트레이싱 활성화 환경에서 성능 유지력이 인상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스펙과 퍼포먼스 모두에서 최고를 추구한 제품이지만, RTX Titan Ada는 결국 정식 출시로 이어지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첫째, 완전 활성화 AD102 칩의 수율이 낮아 양산이 어렵다는 점, 둘째, 이미 출시된 RTX 6000 Ada 시리즈와의 시장 중복이 존재했으며, 셋째, 경쟁사 AMD가 당시 동일한 수준의 하이엔드 GPU를 준비 중이 아니었기 때문에, NVIDIA 입장에서는 무리한 상위 제품 출시 필요성이 낮았던 것입니다.

 

또한, Titan Ada는 제품 포지셔닝 측면에서도 애매한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GeForce 라인업과의 단절된 브랜딩, 워크스테이션용 제품군과의 성능 겹침 문제 등이 출시 보류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존재합니다. 다만, NVIDIA가 내부적으로는 이 GPU를 상당히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었으며, 실제 작동 가능한 시제품을 제작했다는 점에서 향후 Titan 시리즈의 부활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번 공개는 단순한 유출이 아닌, NVIDIA가 언제든지 Titan급 GPU를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입니다. 이를 통해 하드웨어 애호가들과 산업계는 RTX Titan Ada를 단순한 시제품이 아닌, 향후 그래픽 카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상징적인 기준점으로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RTX Titan Ada는 미출시 GPU 중 가장 구체적인 모습과 상세한 사양이 확인된 희귀한 사례입니다. 공개된 제품은 단순히 실험적이지 않았으며, 실제 생산이 고려되었고 설계 완성도도 매우 높았습니다. 이 제품은 NVIDIA가 Titan이라는 브랜드에 대해 여전히 강력한 기술적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차후 RTX 5090 혹은 그 이상 세대 GPU의 기획 방향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큽니다.

 

Titan Ada의 등장은 단순한 GPU 공개를 넘어, NVIDIA의 하이엔드 전략과 내부 설계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비록 상용 제품으로 만날 수는 없었지만, 이와 같은 괴물 GPU의 존재는 여전히 하드웨어 마니아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있으며, Titan 시리즈가 언젠가 다시 돌아올 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NVIDIAs TITAN ADA Prototype

 

 

 

 

LegoGPT로 만드는 나만의 AI 레고 디자인

프로젝트 웹사이트 LegoGPT: Generating Physically Stable and Buildable LEGO Designs from TextAbstract We introduce LegoGPT, the first approach for generating physically stable LEGO brick models from text prompts. To achieve this, we construct a larg

chrien.tistory.com

 

 

ASUS ProArt X870E Creator WiFi 사용자 필수 업데이트! BIOS Ver. 1401 개선점 (25.05.06일자)

ASUS의 ProArt X870E-CREATOR WIFI는 AMD AM5 플랫폼 기반의 전문가용 메인보드로 고성능 작업과 안정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제품입니다. 그러나 초기 BIOS 버전에서는 메모리 호환성, 전

chrien.tistory.com

 

 

AMD 실적 사상 최고치, Ryzen9000과 Epyc프로세서가 만든 결과

AMD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Ryzen 9000과 Instinct MI300이 만들어낸 기록적 성과 글로벌 반도체 기업 AMD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역대 최고의 분기 성적을 달성했다. 총매출은 74억 달러로 전년 동

chrien.tistory.com

 

 

기가바이트 B75M-D3H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로 NVMe SSD 지원

기가바이트 B75M-D3H, 출시 13년 만에 NVMe SSD 부팅 기능 추가한 최신 펌웨어 공개기가바이트가 2012년 출시된 B75M-D3H 메인보드의 최신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놀라운 성능 개선을 선보였습니다. 일

chrien.tistory.com

 

 

반응형